대설피해 특별재난지역 한덕수 권한대행 발표!
특별재난지역 선포 배경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지난 11월 26일부터 28일 사이에 발생한 극심한 대설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한 7개 시·군과 4개 읍·면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였습니다. 이번 선포는 피해 대응을 위한 신속한 조치이며, 피해 주민들의 빠른 회복을 돕기 위한 계획입니다. 대설 기간 동안 하루 최대 40cm 이상의 눈이 내리면서 농업시설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에 피해가 집중되었고, 결국 정부는 피해 규모가 선포기준액을 초과한 지역을 대상으로 11곳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습니다.
정부의 재난 지원 정책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에서는 국비가 추가로 지원되며, 피해를 입은 국민에 대해서는 재난지원금이 지원됩니다. 이는 국세 및 지방세 납부유예와 공공요금 감면과 같은 간접적인 혜택을 포함하여 폭넓은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정부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대설, 강풍, 풍랑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신속한 자금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 재난 지원금 외에도 여러간접적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 정부는 피해 지역에 대한 조사 및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피해 조사 및 지원 계획
정부는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합동으로 피해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11곳은 경기, 강원, 충북, 충남이 포함되었습니다. 피해 조사는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정부는 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원의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와 같은 조치를 통해 피해시설의 복구를 위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 시기적절한 복구가 가능할 것입니다.
대설 피해의 규모와 지역적 영향
이번 대설로 인한 피해 규모는 과거의 10배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여전히 피해 지역의 눈이 녹지 않아 현장 접근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특히 농업시설에 미친 피해가 심각하여 정부는 피해가 큰 지역에 사전조사단을 파견하여 자치단체 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피해 신고 접수 기간 역시 연장하고, 정확한 피해 조사를 위해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정부의 향후 계획
특별재난지역 지원 내용 | 재난지원금 지원 대상 | 특별재난지역 지정 효과 |
국비 추가 지원 및 세금 납부 유예 | 피해 주택 및 사업체 | 지방 자치단체의 재정 부담 완화 |
정부는 이러한 지원을 통해 피해 주민의 일상 회복을 돕고, 빠른 생업 복귀를 위한 정책을 신속히 확정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관련 부처와 지자체는 최대한 협력하여 피해 복구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이러한 조치들이 피해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피해 주민의 지원과 지역 사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11개 지역은 더 많은 지원을 받으며, 정부는 건강보험, 전기, 통신 비용 및 도시가스 요금 등 다양한 혜택을 추가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런 정부의 정책은 피해 주민들이 보다 더 빠르게 안정된 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이 지역사회의 재활과 회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의 의지와 발표 내용
고기동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은 이번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피해 주민의 일상 회복과 생업 복귀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정부는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피해 지역의 조속한 복구를 위한 관계부처의 협력과 지원을 명확히 할 것입니다. 회복 계획은 빠르게 확정되도록 하여 관계 부처 및 지방 자치단체와 긴밀히 협력할 것입니다.
재난 복구 관련 문의 사항
피해 복구에 관한 상세한 문의는 행정안전부 재난복구지원국 복구지원과(044-205-5314)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부는 추가적인 지원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피해 지역의 주민 여러분은 적극적인 피해 신고와 지원 요청으로 정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결론 및 지역 사회 회복
이번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국민들을 위한 지원 체계의 중요한 일환입니다.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지원이 피해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지역 사회의 빠른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각 지역 주민들도 피해 복구를 위한 활동에 적극 참여해 주시길 바라며, 정부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 내기를 기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