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개통 주행시간 63분에서 17분으로!
창녕-밀양 고속도로 개통 소식
경남 창녕군 장마면에서 밀양시 산외면까지 4차로 고속도로가 개통되었습니다. 이번 고속도로 개통으로 주행시간이 기존 63분에서 17분으로 대폭 단축되었으며, 주행거리는 42㎞에서 28.5㎞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개통될 예정입니다. 창녕-밀양 구간의 고속도로 개통은 경남 내륙의 동서를 잇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지역 경제와 관광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속도로의 의미와 중요성
이번 창녕-밀양 고속도로 개통은 경남 내륙 지역의 동서축 간선 연결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지역 경제와 관광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과거에는 국도 24호선 2차로 도로밖에 없어 지역 간 이동이 불편했으나, 이번 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이동이 더욱 빠르고 안전해질 것입니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생활 수준도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밀양-울산 고속도로와의 연계가 이루어지면, 경남 지역 주민의 생활권도 확장될 것입니다.
- 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한 주행시간 단축
-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 관광자원 연계로 인한 시너지 효과
예상 경제적 효과
창녕-밀양 고속도로 개통으로 연간 4030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역의 관광자원과 물류 활성화를 통하여 달성될 것입니다. 경남 내륙 지역은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 등 남북 간선축은 이미 구축되었으나, 동서 간선축은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이번 고속도로 개통으로 동서 방향의 유일한 고속도로가 등장하게 되어 지역 경제의 발전을 도모할 기회를 제공하게 됩니다. 특히 유네스코 생물보전지역인 창녕 우포늪과 밀양 영남알프스, 얼음골 등을 연계하여 관광객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향후 계획과 기대 효과
이번 개통 후에도 미개통 구간인 함양-창녕 구간(70.9㎞)도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개통할 계획입니다. 이는 경남 내륙 지역의 동서 간선축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아울러,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무안-광주-남원-거창-밀양-울산을 연결하는 국가 간선 동서 2축 횡단 노선 완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교통 편의성과 지역 발전을 위한 시설을 더욱 마련할 것입니다.
개통식 및 관계자 발언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 |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 | 지역 주민 의견 |
“고속도로 개통은 지역 경제에 활력을 더할 것” | “고속도로 구축으로 교통편의성 증대” | “더 나은 생활환경을 기대” |
27일 오후 경남 밀양시 무안면 밀양영남루 휴게소에서 열린 ‘함양울산고속도로 창녕-밀양구간 개통식’에 참석한 백원국 제2차관은 이 고속도로 개통이 경남 내륙지역의 이동성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함양~창녕 구간이 2026년까지 차질 없이 개통될 것이라며 국가 간선 도로를 완성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문의 및 정보
고속도로 관련 사항 및 문의 사항은 국토교통부 도로국 도로건설과 (044-201-3889) 및 한국도로공사 건설처 (054-811-3070)로 연락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정책뉴스자료는 정책브리핑을 통해 제공되며, 출처 표기를 꼭 지켜야 합니다.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무료로 사용이 불가하오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총평
이번 창녕-밀양 고속도로 개통은 경남 내륙 지역의 교통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지역 경제 발전에 있어 상징적인 역사적 사건으로 남게 될 것입니다. 이런 교통 인프라가 구축됨으로써 경남 지역은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술 및 사회적 발전을 통해 자동차를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이동의 경험을 제공할 것이며, 지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미래 발전 방향
향후 지속적인 도로 인프라 확장을 통해 경남 지역 경제의 기틀을 다질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창녕-밀양 고속도로와 같은 대규모 교통 인프라 구축은 경남 마을 간의 연결성을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할 것입니다.
